ISTQB FL 시험 준비/챕터별 정리

ISTQB FL 핵심 해설 총정리: QA 실무 흐름으로 다시 엮는 품질의 설계도

DAILY FREAK 2025. 4. 22. 09:21
반응형

시험을 넘어서, 실무에 연결되는 테스팅의 전체 구조


1️⃣ 이 글은 왜 필요한가?

ISTQB FL(Foundation Level)은 단순 자격증 시험이 아닙니다.
이 시리즈를 따라오셨다면 아시겠지만,
각 챕터는 테스트 프로세스의 한 조각일 뿐이며,
전체 품질 전략은 이 조각들이 어떻게 연결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Chapter 1부터 6까지의 심화 내용을
실무 QA 흐름에 맞게 재배열하고 통합
단 한 번에 전체 구조를 꿰뚫는 설계도로 정리합니다.


2️⃣ 품질을 설계하는 흐름: 전체 테스트 전략 맵

테스팅은 "기획 → 분석 → 설계 → 실행 → 관리 → 개선"이라는
하나의 유기적 사이클로 구성됩니다.

각 단계와 ISTQB 챕터를 연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실무 흐름 / 핵심 활동 / 대응 ISTQB 챕터
품질 철학 정립 테스트의 목적과 원칙 이해 Chapter 1
요구/설계 리뷰 정적 테스팅과 리뷰 수행 Chapter 3
테스트 전략 수립 리스크 기반 테스트 계획 Chapter 5
테스트 설계 테스트 기법으로 케이스 도출 Chapter 4
테스트 실행 및 관리 실행 + 리포트 + 추적 Chapter 5
도구 활용 및 자동화 효율화, 시각화 Chapter 6

모든 챕터는 선형 구조가 아닌, 순환 구조로 반복되고 개선됩니다.


3️⃣ Chapter 1: QA의 본질 – 테스트는 신뢰를 설계하는 일

  • 테스트는 오류 탐지가 아닌 품질 설계 도구
  • ISTQB 4대 목적: 결함 탐지, 품질 평가, 요구사항 검증, 리스크 완화
  • 7대 원칙: 조기 테스트, 결함 집중, 완전한 테스팅의 불가능성 등
  • 애자일 QA 핵심 해석: 테스트는 후처리가 아닌 선설계 전략

🔗 자세한 해석은
→ [Chapter 1 핵심 해설 – 테스팅의 본질과 QA의 역할]


4️⃣ Chapter 2: SDLC와 QA의 개입 시점

  • SDLC 흐름별 테스트 대응 전략 정립
  • V-Model: 개발 단계와 테스트 단계 1:1 연결
  • Shift Left: 테스트는 설계 이전부터 시작
  • 테스트 독립성: 누가 테스트하느냐가 품질을 가른다
단계 / QA 개입 방식
요구/설계 리뷰, 명세 분석
구현 코드 리뷰, 단위 테스트
통합 API 검증
시스템 기능 및 회귀 테스트
인수 사용자 시나리오 중심 테스트

🔗 자세한 해석은
→ [Chapter 2 핵심 해설 – 테스트 흐름, 어디서부터 시작되는가]


5️⃣ Chapter 3: 정적 테스팅 – 실행 없이 발견하는 결함

  • 정적 리뷰 = QA가 품질에 개입할 수 있는 가장 빠른 시점
  • 인스펙션, 워크스루 등 리뷰 종류에 따라 효과 다름
  • 정적 분석 도구 활용: Lint, SonarQube 등
  • 애자일 QA에선 리뷰가 곧 전략: 스프린트마다 품질 기준 선포
유형 / 주도 주체 / 실무 적합도
비공식 리뷰 개발자, 동료 QA 빠른 피드백
인스펙션 QA, PO 전사 품질 기준 점검

🔗 자세한 해석은
→ [Chapter 3 핵심 해설 – 정적 테스트로 결함을 막는다]


6️⃣ Chapter 4: 테스트 설계 기법 – 논리의 무장

  • 블랙박스(경계값, 상태 전이, 결정 테이블)
  • 화이트박스(문장/조건 커버리지)
  • 경험 기반(오류 추정, 탐색적 테스트)
  • 기법은 도구가 아닌 사고 프레임이며, 상황에 따라 조합해서 사용
테스트 대상 / 적합 기법
숫자/범위 입력 경계값 분석
상태 기반 시스템 상태 전이
복합 조건 결정 테이블
과거 오류 많은 기능 오류 추정

🔗 자세한 해석은
→ [Chapter 4 핵심 해설 – 논리로 품질을 증명하다]


7️⃣ Chapter 5: 테스트 관리 – QA의 전략 지휘소

  • 테스트 계획의 6대 구성요소: 범위, 목표, 일정, 자원, 리스크, 책임
  • 테스트 전략 = 실행 방식의 설계도
  • 리스크 기반 테스트(RBT): 가능성 x 영향도로 우선순위 산정
  • 테스트 모니터링 = 지표로 품질 추적
전략 요소 / 설명
범위 무엇을 테스트하고, 제외할 것인가
종료 조건 품질 목표 달성 기준
리스크 평가 어떤 시나리오가 실패하면 큰 손실인가?

🔗 자세한 해석은
→ [Chapter 5 핵심 해설 – 계획에서 가치까지]


8️⃣ Chapter 6: 도구 기반 QA – 자동화는 확장이다

  • 테스트 관리 / 실행 / 분석 / 설계 / 비교 / 성능 / 서비스 가상화 도구 분류
  • 도구는 업무 대체가 아닌 업무 확장의 무기
  • 도입 시 고려사항: 조직 적합성, 유지관리 비용, 팀 기술 스택과의 통합성
  • 애자일 환경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도 활용 (예: Jira, Allure)
도구 유형 / 대표 사례
테스트 관리 TestRail, Zephyr
자동화 실행 Selenium, Playwright
정적 분석 SonarQube, ESLint
성능 테스트 JMeter, LoadRunner

🔗 자세한 해석은
→ [Chapter 6 핵심 해설 – 도구 없이 QA 없다]


✅ 마무리 요약

  • ISTQB FL은 이론 학습이 아닌 실무 구조 설계의 가이드라인입니다.
  • 각 챕터는 고립된 단원이 아니라, 하나의 품질 전략 흐름의 일환입니다.
  • 테스팅은 ‘버그 잡기’가 아니라 ‘리스크 제어 + 신뢰 확보’의 도구입니다.
  • QA는 단순 실행자가 아니라 설계자, 조율자, 전략가의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 시험은 시작일 뿐이고, 실무에서 ISTQB의 진가가 드러납니다.

🔗 추천하는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