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TQB FL 시험 준비/실무 적용

📘 테스터를 위한 실무 용어 정리 – PO와의 협업까지

DAILY FREAK 2025. 4. 18. 14:41
반응형

✅ QA의 언어는 다르고, PM의 언어는 더 다르다

ISTQB 자격증을 공부하다 보면 "어? 이거 실무에서 안 쓰는데?" 싶은 용어들이 많습니다.
반대로, 회사에서는 매일 듣는 말인데 교재에는 없는 개념도 있죠.
이 글은 ISTQB 용어를 실무 언어로 번역하고,
PO(Product Owner)나 DEV들과 소통할 때 어떤 말센스가 필요한지까지 정리한 콘텐츠입니다.
테스터는 테스트만 잘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말을 잘 알아듣고, 잘 되묻는 사람이기도 하니까요.


1️⃣ 헷갈리는 용어, 시험용과 실무용은 이렇게 다르다

구분ISTQB 용어실무에서 흔히 쓰는 표현
검증 vs 확인 verification vs validation 기능 점검 vs 사용성 확인
테스트 레벨 unit, integration, system, acceptance 단위/통합/시스템/인수 테스트
결함 defect 버그, 이슈, 티켓
리뷰 종류 walkthrough, technical inspection 코드리뷰, QA 검토, 산출물 피드백
테스트 목적 발견 vs 예방 버그 찾기 vs QA 프로세스 개선

💬 시험은 구조를 묻고, 실무는 경험을 묻습니다.


2️⃣ PO와의 협업 – QA가 말실수하면 전체 일정이 꼬인다

테스트는 혼자서 하지 않습니다.
특히 PO(Product Owner)는 QA의 주요 협업 파트너입니다.
그런데 이 협업이 자주 꼬이는 이유 중 하나는 "같은 단어를 다른 의미로 쓰기 때문"입니다.
📌 대표적인 실무 커뮤니케이션 충돌 사례:

QA 표현PO의 오해원인
“이 기능은 결함이 있습니다.” → "개발팀이 잘못했군요?" '결함'을 버그로 받아들임
“현재 테스트가 끝났습니다.” → "릴리즈해도 되는 상태군요?" '테스트 종료'와 '검수 완료' 혼동
“이건 테스트가 불가합니다.” → "QA가 안 하겠다는 거야?" 기술적 불가 vs 업무 포기 구분 불명확

💬 실무에선 '단어'보다 '맥락'이 중요합니다. 용어 정리는 결국 오해 방지입니다.


3️⃣ 실무에서 많이 쓰는 용어 – ISTQB와는 안 나오지만 알아둬야 하는 말들

용어설명
QA 시나리오 테스트 케이스보단 덜 형식적이고, 실제 사용자 흐름 중심으로 작성한 스크립트
TC Test Case의 줄임말. 보통 문서명, 협업 시 구어체로 자주 사용됨
QA Sign-off 테스트가 완료되었고 QA가 다음 단계로 넘겨도 좋다고 판단한 시점
Hotfix 배포 이후 긴급하게 수정해서 바로 반영하는 버전
Regression 회귀 테스트. 기존 기능이 안 망가졌는지 확인하는 과정
QA Coverage 테스트 커버리지와 비슷하지만, QA 입장에서 커버했다는 심리적 기준

💬 현장에선 “버그 있음”보다 “커버 안 됐어요”가 훨씬 센 말입니다.


4️⃣ 협업형 QA의 언어 – 말센스가 실력이다

단순히 용어를 안다고 협업이 잘 되진 않습니다.
중요한 건 말을 정중하게, 명확하게, 그리고 상대 입장에서 하는 것입니다.
📌 PO와 DEV에게 신뢰 주는 표현 예시:

  • ❌ “이건 테스트 불가입니다.”
    ✅ “현재 테스트 가능한 환경이 구성되지 않아, 테스트가 보류되고 있습니다.”
  • ❌ “이건 명세와 달라서 불통입니다.”
    ✅ “요구사항 문서와 비교했을 때 동작 차이가 있어서 한번만 더 확인 부탁드립니다.”
  • ❌ “버그입니다.”
    ✅ “예상 결과와 다르게 동작하고 있어서, 내부적으로 결함 여부를 확인 중입니다.”

💬 말은 무기입니다. QA는 이 무기를 날카롭되 부드럽게 써야 합니다.


5️⃣ QA가 알아야 할 PO의 언어 – 기대를 먼저 읽어야 한다

PO는 개발자보다 비즈니스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PO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고합니다:

PO의 언어QA의 해석 기준
“이건 사용자한테 민감할 수 있어요.” 테스트 케이스 우선순위에서 높여야 할 항목
“이번에 일정이 좀 빠듯해요.” Regression을 줄여야 할 수 있으니 자동화 우선 확인 필요
“그냥 테스트해보면 안 될까요?” 테스트 명세 없이 exploratory 테스트 요청일 수 있음

💬 PO는 기능이 아닌 결과를, 테스터는 재현성과 논리를 말합니다. 둘의 간극을 줄이는 게 협업입니다.


🎯 요약 정리표

구분핵심 내용 요약
용어 번역 ISTQB 용어를 실무 언어로 바꾸어 이해
협업 커뮤니케이션 포인트 같은 단어라도 QA/PO/DEV가 다르게 해석함. 말의 정의 통일 필요
실무 표현 정제법 “버그입니다”보다 “예상 결과와 다릅니다”가 협업에 유리
실무 용어 습득 hotfix, sign-off, QA coverage 등 현장 단어 정리 필수
QA의 자세 말센스 + 논리 + 예의 → 신뢰받는 테스터가 되는 길

🔗 추천하는 글
→ [요구사항 리뷰부터 버그 리포트까지 – 테스트 문서 작성 가이드]
→ [Chapter 6: 도구 지원 테스트 실전문제 정리]
→ [ISTQB 실전 대비 전략 – 실수 줄이는 사고형 접근법]

반응형